본문 바로가기
  • 예술하는 오아시스♥
Our.Hour/Our.Study

발달장애인 가족 대상_비대면 (예술)교육 설문에 대한 응답

by Our Art Space 2020. 12. 4.

발달장애인 가족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 대한 응답입니다. 

코로나19로 발달장애인의 생활에 다양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그중 각각의 (예술)교육 환경에 대한 설문이며, 익명으로 응답 진행 되었습니다. 이는 발달장애인의 예술교육 연구에 소중한 자료로 활용됩니다. 소중한 의견에 감사합니다.

발달장애인 가족대상 설문: https://bit.ly/2IMxItu

 

발달장애인의 비대면 (예술)교육

발달장애인 가족을 대상으로 한 질문지 입니다. 코로나19에 따라 발달장애인의 생활에 다양한 변화가 나타났습니다, 이는 이에 따른 교육환경에 대한 설문이며 익명으로 응답 가능합니다. 설문

docs.google.com

이 설문에 대한 응답은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응답해 주시면 적극 반영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설문응답 : 2020년 12월 기준

 

 

 

 

 

 

9. 발달장애인에게 비대면 교육이 필요하지 않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 집중력 결여나 흥미유발이 부족

- 컴퓨터나 전자기계를 싫어하는 발달장애인도 있음

- 직접 보고 듣는 훈련 불가한 상황은 단순한 만화를 보는 것과 같다고 생각되기에 실질적 교육에는 의미가 없다고 봄

- 일부 비대면 수업가능하나 결국 면대면 수업에만 행동교정과 상호작용 기술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

- 소통이 원활하지 않음

- 비대면의 거리감이 교육의 참여율을 떨어뜨림

- 교육현장에서 수정, 독려, 촉진 등이 필요함

 

 

 

11. 비대면 교육의 단점도 있지만 그 가운데 이점이 있다면?

- 교육의 기회를 잃지 않는다는 점

- 새로운 교육방법의 습득

- 반복학습 가능

- 규칙적인 수업시간 유지

- 지속적 자극, 다양한 교육기회제공

-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훈련

- 안전함, 편리함, 위험노출 최소화
- 기회조차 없는 지방의 소도시에 있는 발달 장애인들에게 좋은 경험이 됨

- 흥미로운 콘텐츠일 경우 집중력이 높고, 시청각자료에 흥미를 보임

- 교육에 적극적 관심과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부모님과 함께여야만 이점이 있음 그렇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이점은 없다고 봄

- 지금 상황에 별다른 대안이 없음

 

 

 

 

 

15. 비대면 예술창작 교육을 위해 교육자가 고려해야 할 점이 있다면?

- 일방적인 시청보다 자신의 목소리를 들려줄 기회가 있으면 더 즐거워함

- 함께할 수 있는 느린 진행속도, 천천히 이야기하기

- 단계별접근과 반복적으로 확인하는 과정

- 피드백이 중요함

- 아동의 개별적 특성고려, 아이에 대한 사전 정보

- 피교육자의 환경

- 발달장애인의 집중을 위한 노력, 소도구 사용, 지루하지 않도록 호기심유발

- 일방적인 교수교육은 지양

- 선생님과의 소통(선생님을 계속 불렀을 때 수업 진행상 응답하지 않아 자폐 특성상 불안감 고조돼 이후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음)

- 준비물 사전 점검(키트에서 빠진 재료가 있을시 지나치게 당황함)

 

16. 기타 발달장애인 대상 비대면 (예술)교육에 대해 의견

- 장애정도에 따른 각자의 능력 차이 고려
- 1대 다수일 경우 집중이 어려우니 학습자의 수를 최소화해야 효과적
- 소근육이 약함을 고려해 줄 것(부수적인 작업들 예를 들어 고무줄로 감기, 부자재 사용 등이 어려워 진도를 따라가지 못함)
- 지시사항을 이해하지 못할 경우가 많아 자세한 설명 필요

- 비대면으로라도 교육의 기회가 많기를
- 관계자들의 노력과 실천 필요

- 장애정도에 따라 배제되는 이 없이 모든 이들에게도 고루 혜택이 주어지기를

- 조사에 그치지 않고 실천하기를

- 흥미롭게 진행하기를
- 현재와 같은 상황에 비대면 교육을 피할 수 없지만 지금의 교육방법으로는 효율성이나 효과가 없다고 판단되기에 교육에 관련된 분들과 부모님의 연계로 교육방법의 변화에 노력을 기울여야 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