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예술하는 오아시스♥

발달장애16

한승헌 프리스타, 연산중 _ 프리지아 꽃이름을 알려주며 그려볼까? 했더니 3초만에 그리고 다했단다 저렇게 빨리, 단숨에, 쓱쓱 (하하) 맞다 사실 꽃에는 관심이 없다 한 가지 반가운 것은, 계속 불가능했던 상황에 대한 기억을 떠올렸던 몇 번의 만남과는 달리 이번엔 과거에 불가능했지만 현재에 가능한 것을 이야기해주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달력을 달라고 요청하더니 달력을 보며 종이 위에 숫자를 적고 더하기를 반복 했다(지금 뭐하는지 묻자 정확히 “연산중”이라고 표현했다) 이는 평생학습센터, 맘편한의원, 앙상블(색소폰), 체육, 도자기, 안나가기 그리고 오아시스에서 미술활동까지 요일별 스케줄에 따른 엄마와 약속을 잘 지키면 승헌 씨에게 생겨나는 2021년, 2022년의 수입이다(그래서 달력이 필요했던 것) 다 더하니 1,032,000원 .. 2021. 3. 20.
김도영 Bird series2 (Peacock)작업 기록 2021. 3. 18.
한승헌 드로잉노트 # 국내 방영 계획이 없는 5년 전 다마고치 프로그램 이야기 “현재 방영 예정이 없습니다” # 2016년 Yes24 에서 우등생 해법수학 3-7, 내일은 실험실 S4 (무게와 균형) 이 절판되었던 이야기 “해당 상품은 현재 판매되고 있지 않습니다”# 16년 전 구동불가로 실행되지 않는 Virture Router 3 term bottle , Mame ...프로그램의 에러 메시지 “Unknown texture type E:5” 하고싶.. 2021. 3. 13.
MAME 0.111u1 프로그램 업데이트_ 한승헌 볼펜을 익숙하게 사용하지만, 물감도 제법 즐길 줄 안다 🍋 봄이 살포시 내려앉은 것 같기도 한 승헌 씨의 드로잉은 14년 3개월 전, 2006년 12월 27일 폐업한 강남구청역 로터리 게임장에서 MAME 0.111u1 프로그램 업데이트에 관한 내용이다, 붓을 놓은 후엔 이렇게 말했다 “지금은 없지, 14년 전 추억이지” . . 2021. 3. 13.
Since 2010, 장애아동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해온 것은 바쁘게 살아온 내 삶들을 기록, 정리하며 최근 나의 흔적을 찾다가 오래전 장애아동 대상 예술프로그램을 운영했던 기록이 남아있음을 발견했다. 대학원 졸업 후 색채심리치료를 공부하며 배웠던 PAAT 평가를 프로그램에 적용시킨 듯하다. 세월이 흘러 이마저도 기억에서 희미해져버린 일인데,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블로그에 아직 기록이 남아있어 반갑다. 아이들이 좋아했다니 다행이긴한데.. 당시 나는 학부에서 서양화를, 대학원에서 미술교육을 전공하고, 색채심리를 공부한 후 2006년 사립초등학교에서 아이들 미술을 지도했던 이력은 있었지만 2010년즈음, 장애에 대한 깊은 이해도 없이 시작한 장애아동 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지금생각하면 여러모로 많이 부족하지 않았겠나 싶다. ^^; blog.naver.com/haechiseo.. 2020. 12. 12.
발달장애인 가족 대상_비대면 (예술)교육 설문에 대한 응답 발달장애인 가족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 대한 응답입니다. 코로나19로 발달장애인의 생활에 다양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그중 각각의 (예술)교육 환경에 대한 설문이며, 익명으로 응답 진행 되었습니다. 이는 발달장애인의 예술교육 연구에 소중한 자료로 활용됩니다. 소중한 의견에 감사합니다. 발달장애인 가족대상 설문: https://bit.ly/2IMxItu 발달장애인의 비대면 (예술)교육 발달장애인 가족을 대상으로 한 질문지 입니다. 코로나19에 따라 발달장애인의 생활에 다양한 변화가 나타났습니다, 이는 이에 따른 교육환경에 대한 설문이며 익명으로 응답 가능합니다. 설문 docs.google.com 이 설문에 대한 응답은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응답해 주시면 적극 반영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설문응답 :.. 2020. 12. 4.
발달장애인 교육자 대상_비대면 (예술)교육 설문 응답 결과 이 설문은 발달장애인 창작자와 밀접하게 예술창작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교육자를 대상으로한 질문에 대한 응답이며 익명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발달장애 창작자의 교육자 대상 설문: forms.gle/F8UNj6GeycUSeq1u6 발달장애 창작자의 교육자 대상(예술가, 기획자, 멘토, 튜터) 이 설문은 발달장애인 창작자와 밀접하게 예술창작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교육자를 대상으로한 질문지이며, 익명으로 응답가능합니다. docs.google.com 이 설문에 대한 응답은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응답해 주시면 적극 반영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설문응답 : 2020년 12월 기준 같이있는 가치가 공존을 바라는 개인의 목표 진정한 소통에서 오는 이타심의 사명감 16. 발달장애 창작자의 예술이 개인과 사회에 유.. 2020. 12. 4.
내일을 위한 또 한 걸음 코로나19가 가져온 변화,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만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창작이 지속되어야 하는 이유를 알기 때문이다. 누구도 예측하지 못한 이 상황을 대비하지 못해 발만 동동구르고 있을 순 없었다. 또 다시 이러한 환경에 처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었기에 준비가 필요했다. 그래서 진행한 발달장애인 가족과 교육자 대상의 설문과 그에 대한 응답이다. ourartspace.tistory.com/m/26?category=819934 [설문중] 발달장애인의 비대면 (예술)교육 발달장애인 가족 및 발달장애인 창작자의 교육자(예술가, 기획자, 멘토, 튜터)를 대상으로한 질문지입니다. 코로나19로 발달장애인의 생활에 다양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그중 각각의 (예술)교육 our.. 2020. 12. 2.
조주리_큐레이터와 만남 9월 19일 토요일에는 조주리 큐레이터와 이번 콘텐츠 연구 및 프로그램 진행에 함께 해주신 여섯 분의 예술강사님들이 한데 모여 예술과 창작자의 삶은 어떠해야 할지 함께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조주리 큐레이터는 학부와 석,박사 과정에서 심리학과 미술사, 문화정책, 시각문화연구를 공부하였다. 2006년부터 다양한 문화예술 기관에서의 실무를 경험한 뒤 2013년부터는 독립기획자/연구자로 일하며 주로 학제적 연구 기반의 전시 생산을 지속해 오고 있다. 이와 함께 다양한 미술 기관, 국책 기관, 기업들의 객원 전시감독으로서 예술 협업을 병행해오고 있다. 동시대 미술 씬에서 소개된 주요 전시로는 (아르코미술관,2013),(탈영역우정국, 서울, 2016),(아르코미술관, 서울, 2017),(토탈미술관, 서울, 201.. 2020. 12. 1.
너무 자연스러웠기에 그 기억마저도 대학에서 서양화를 전공했으나 예술적 광기가 없었던 나는 교육대학원에 진학해 미술교육 석사과정을 전공했다. 대학원 재학중 중계동에 위치한 상명초등학교에서 특기적성반 선생으로 일했는데 떠올려보면 그때 2006년, 처음 장애인 창작자를 만났다는 사실을 근래에 알게되었다. 수민이, 김수민. 어렵게 기억의 조각들을 가지고 퍼즐을 맞추며 자료를 찾았다. (좌)교복을 입은 학생시절 수민이의 초상화 ... 어떤 학습을 하지 않고도 밑그림 없이 즉흥적으로 선을 그어나가는 수민이의 모습이 미술전공자인 내 눈에는 신기해 보였다. 그런 수민이의 모습을 같은 구도의 여러 장의 사진으로 기록해 놓은 것을 보니 정확하게 대상을 포착-인식-표현하는 능력을 지닌 수민이가 내 눈엔 신기하면서도 예뻐보였던 것 같다. 이것이 장애인 창작자.. 2020. 11. 27.
[설문중] 발달장애인의 비대면 (예술)교육 발달장애인 가족 및 발달장애인 창작자의 교육자(예술가, 기획자, 멘토, 튜터)를 대상으로한 질문지입니다. 코로나19로 발달장애인의 생활에 다양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그중 각각의 (예술)교육 환경에 대한 설문이며, 익명으로 응답 가능합니다. 이는 발달장애인의 예술교육 연구에 소중한 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합니다. 발달장애인 가족대상 설문: https://bit.ly/2IMxItu 발달장애 창작자의 교육자 대상 설문: forms.gle/F8UNj6GeycUSeq1u6 2020. 11. 20.
발달장애 창작자의 예술활동_한양대학교 미술+디자인교육센터(HEAD Lab) 2019년부터 한양대학교는 서울시의 위탁사업인 장애청소년 미술교육 지원사업을 담당해 운영해 왔습니다. 코로나19가 창궐하면서 올 2020년은 비대면 교육이 진행되어온 가운데 11월 셋째 주에 있을 학부모 워크숍이 진행될 예정이며, 저는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사범대학에서 에 대해 발제하게 되었으며 이는 온라인(홈페이지에 공지되는 링크)으로 시청 가능합니다. [관련링크] [안내] 학부모 워크숍 안내 어려운 상황속에서도 에 함께해주시는 학부모님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학부모님의 자녀 미술교육에 대한 이해 head-lab.org 이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강의이며, 자녀들이 발달장애 예술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부분에 대해 학부모님들의 많은 궁금증을 해소하는 자리가 될 .. 2020. 11.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