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
[서민지] Director
성신여자대학교에서 서양화를 전공하고 미술교육대학원 졸업 후 사)한국장애인미술협회에서 장애예술가의 큐레이터로 일하며 경험을 쌓았다. 2011년부터 서울문화재단 잠실창작스튜디오에서 문화예술 기획ㆍ행정가로 일하며 장애예술가의 발굴과 인큐베이팅에 주력했다.
2020년, 예술하는 오아시스(Our Art Space)의 문을 열어 울타리 바깥의 예술을 경험하고 장애ㆍ비장애의 경계를 조금씩 지워가는 사회 협력자(social collaborator)로 활동하며 이에 기꺼이 함께 할 이들을 찾고 있다.
[신선우] Art Director
작가 신선우는 그림 속에 여러 민족국가의 의식 및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과거와 현재가 뒤섞이는 공간과 익명의 인물들을 병치시킴으로써 오늘날 글로컬라이제이션(세계화+지방화)의 성격과 현상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그는 프랑스 마르세유 보자르 대학 ESADMM을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 석사 졸업, 현재 박사과정중에 있으며 홍익대에 출강해 후학양성에도 기여하고 있다. 또 국립현대미술관 교육문화과 외 인천, 김포 지역의 예술교육자로, 특별히 인천 지역의 장애인자립센터에서 예술강사로 활동하며 장애예술인의 창작활동에 활력을 불어주고 있다.
[황신아] Educator
서울여자대학교 불문학과를 졸업하고 예술이 좋아 서울문화재단 잠실창작스튜디오에서 일하게 된 그는 장애예술의 매력에 사로잡히게 된다. 이후 숙명여대 문화정책대학원에 진학해 예술전반 지식을 심층적으로 연구하며 현재 장애예술 교육 가이드라인 관련 석사논문을 준비중에 있다. 또 기부문화를 연구하는 한국모금가협회에서 NGO와 기업, 사회복지와 문화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모금전문가 양성을 위한 사업기획과 교육을 담당하며 맹활약 중이다.
[강범진] Staff
2016년 SBS 영재발굴단 ‘상상력영재’로 소개된 강범진. 그는 경쟁적이고 답답한 입시를 벗어나 올해 고등학교 1학년에 자퇴를 하고 검정고시 준비와 작품활동을 병행하며 자신의 꿈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2016년 ‘상상력영재’(갤러리우림) 개인전을 시작으로 중학교 정보 교과서(두배의느낌 출판사)에 작품이 수록되는 등 2017‘우주를 보는 눈(국립과천과학관) 2018 약속큐브 약속친구들(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2019 '미술영재꿈을키우다1(스페이스신선), 7월의눈-‘놀라운 작가들’(서울대학교미술관 코어갤러리), ‘약속큐브:평화이야기'전시(문화역서울284), 2020 스페이스 신선의 미술 꿈나무들(스페이스 신선)에서 전시를 통해 지속적인 작품활동을 펼쳐가고 있다.
예술강사
[김현하]
김현하는 시각예술가로 그의 모든 회화는 동그란 동전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자본에 대해 이야기 하지만 비판이 아닌 작은 것의 소중함에 대해 말하고자 하는 그는 과연 ‘돈은 행복의 필수 조건인가?’ 라는 물음을 던진다.
중국 중앙미술학원에서 학사와 석사 졸업 후 북경사범대에서 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은 김현하 작가는 15년간 중국에서 활발한 작품활동을 이어오며 2014년 <다른시선>을 시작으로 중국과 뉴욕에서 각 두 번의 개인전과 2019년 한국에서 개인전을 열게 된다.
<제2회 아시아현대 미술>(뉴욕), (홍콩), (싱가포르), <세계의 수묵-국제수묵작품전>(중국) 등 다수의 기획전에 참여하고2016년 뉴욕 Hudson Center for Contemporary Arts에 3개월간 입주해 작품활동을 펼치며, 2020년 현재 서울문화재단 잠실창작스튜디오 11기 입주작가로 활동중이다. 또한 잠실창작스튜디오의 장애아동 창작지원 프로젝트A 멘토로 2년간 활동하고 있다.
[박경묵]
먹을 기반하여 자연을 주 소재로 默巖風景 묵암풍경 畵’화‘를 그리는 박경묵 작가는 주로 사생을 통해 자연의 아름다움을 모던하면서도 함축적인 이미지로 나타낸다. 그는 전통을 바탕으로 자연현상의 새로움을 모색하고 현장의 호흡을 시공으로 투영시키는 작업을 극대화하고 있다. 어릴적 사고로 인해 왼쪽 팔을 상단 절단 하였으나 예술에 대한 집념과 열정으로 자신의 사유하는 것들이 손끝 너머에 잘 투영될 수 있도록 작업에 임하고 있다.
- 주요경력 -
○홍익대학교 대학원 동양화학과 졸업
○동아대학교 회화과 한국화전공 졸업
- 레지던시 -
2019 (Galerie artpark, 카를스루에/독일)
2012-2014 #잠실창작스튜디오 (서울)
- 개인전 14회 -
2020 泊泫 黙巖風景 (갤러리 H, 서울)
2020 泊泫 靑靑何理 (인사아트센터 부산갤러리, 서울)
2019 泊泫 夢筆生花 (Galerie artpark, 카를스루에/독일)외11회 등
[신동민]
신동민 작가는 동물과 인물을 어린아이의 그림처럼 간결하게 표현하면서 때론 치밀하고도 집요한 묘사를 통해 다채롭고 화려한 색면으로 그려낸다. 가공되지 않은 솔직하고 직관적인 표현으로 사람의 마음을 어루만져 주는 그의 작품에선 투박하면서도 순수한 아름다움을 발견하게 되는데, 거기엔 오랜시간 그림을 그리며 자신이 만들어온 특유의 따뜻한 화풍이 있다.
평소 유튜브를 즐겨 보며 동물, 인물, 풍경 등의 소재를 찾는 그는 놀라운 집중력으로 자신이 그리는 세계를 화폭에 담아낸다. 어린시절부터 그림을 그려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작품을 발표한 신동민 작가는 2015년 가나아트스페이스에서의 개인전을 시작으로 삼성전자, 주식회사 애경과의 컬래버레이션 외에도 2017~18년 서울문화재단 잠실창작스튜디오 9기 입주작가, 보건복지부 가정위탁지원센터 및 밀알복지재단 홍보대사로도 활동하면서 많은 발달장애 후배들에게 큰 도전이 되고 있다.
[이민희]
이민희 작가는 보이는 이미지 너머의 빛과 소리를 시로 읊고 사진이라는 매체로 시각화 한다. 작가는 일상에서 느끼는 개인의 감성과 사회적 고독, 외로움을 고백하고 그 특유의 따뜻한 언어로 ‘생명의 근원’에 대해 자문하며 자신의 색과 철학을 찾아간다. 2020 ’푸른 공명‘, ’숨,; 일렁이는 이야기‘, 2018 숨; 잔잔한 흐림, 2015 ’길;36.5도를 바라보다‘ 의 개인전을 갖고 2019년 맨허튼 Dacia Gallery 의 그룹전에 참가하는 등 국내외 예술가들과 교류하며 예술 지평을 넓혀가고 있다.
[한승민]
한승민 작가는 주변의 소소한 일상 속에서 직접 경험한 인상 깊은 기억들을 작업의 모티브로 가져와 그림을 통해 솔직한 내면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세상과 소통하고 있다.
그의 작품의 특징은 위트있고 개성있는 캐릭터들과 더불어 화면을 구성하는 검은 선, 분할된 면 그리고 강렬한 색의 조화에 있다. 화면은 일정한 채도를 유지하면서 다양한 색면과 선으로 혼합되어 마치 색면추상을 보는 듯하다. 연필로 시작된 스케치는 마커와 붓펜에 의해 다양한 선과 면들로 나뉘고 , 세분화된 면들은 다시 아크릴물감으로 여러 번 그 색을 바꿔가며 화면의 조화를 찾아낸다. 이 과정은 작가에게 긴 시간과 고도의 집중력을 필요로할 뿐 만 아니라 변화되어가는 과정 자체가 하나의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작가는 이러한 작업을 통해 창작의 의미와 즐거움을 느끼며 진정한 마음의 행복을 찾아간다.
자폐성 장애가 있는 한승민 작가는 잠실창작스튜디오 10기 입주작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그림을 그리는 것이 흡사 흥겨운 음악을 작곡하는 것과 같이 즐거운 일이라고 말한다.
[홍세진]
홍세진은 공간, 사물 등과 같은 인공물과 세포, 식물과 같은 자연물의 시각적 편집을 통하여 감각적 경험의 온전성으로부터 비켜서 있는 낯섦을 발견할 수 있도록 연구하는 시각예술가(Visual Artist)이다. 그는 정상 범주라 칭해지는 감각의 지점들을 저만의 방식으로 재해석하여 회화, 설치 등으로 작업하고 있다.
홍세진 작가는 인천가톨릭대학 조형예술대 회화과와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과를 졸업하고, 현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중에 있다. 개인전으로 <감각하는 세계>(2018, 갤러리밈), <선명한 소란>(2019, 신한갤러리 역삼)을 열고, 주요 단체전으로는 <발화의 장소>(2018, Art Company GIG), <디지털과 유사한>(2019, 공간형) <무무(mumu)>(2019,PLATFORM-L), <삼각형의 구도>(2019,스페이스 빔) 등을 발표했습니다. 또한 2019년 잠실창작스튜디오 10기 입주 작가로, 현재는 금천예술공장 11기 입주작가로 활동중이다.
'Our.program > 2020 낙타와오아시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세진_상상의 세계 (0) | 2020.11.30 |
---|---|
신동민_Carnival ot the animal (0) | 2020.11.30 |
낙타와 오아시스 참가자 (0) | 2020.11.29 |
변수와 실수_함께 두드려보는 돌다리 feat.여벤저스 (0) | 2020.11.28 |
낙타와 오아시스 커리큘럼 (0) | 2020.11.28 |